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럼프도 관세를 면제하라고 할만한 갓성비 요리 닭목살구이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지난번 포스팅 이후로 마음이 좋지 않았습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삼치와 단새우 그리고 우니.. 얼마나 가성비냐 라는 가스라이팅을 계속했다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밤잠을 설치는 꿈을 꿀 정도니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그 누구도 반박하지 못할 갓성비 술안주, 밥안주, 집들이, 캠핑, 아들친구 방문 시 유용한 닭목살 구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요새는 이자카야나 닭갈비집에서 닭목살 구이를 어느 정도 접해보신 분들이 많겠지만 제가 처음 이 음식을 접했을 때.. 때는 바야흐로 약 6년 전쯤엔 많은 사람들이 매우 생소해했던 요리였습니다. 닭목살은 뼈 빼면 뭐가남냐 요런식의 질문들을 많이받았습니다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설명드리자면 무려 순살로 된 제품들이 인터넷에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으니 요번에는 꼭 한번 시도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일단 가격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자 요롷게 국내산 닭목살 1kg을 5천 원대에 구매했습니다.. 닭목살가격은 편차가 좀 있지만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좀 저렴해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비쌀 때는 12000원까지 가곤 했었는데 최근에는 7천 원대를 잘 넘지 않은 극강의 가성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단 닭목살은 사놓고 바로 냉동보관으로 직행할 예정이기 때문에 냉동제품을 사도 무방합니다 저는 일부로 급속냉동시킨 제품을 사는 것을 선호합니다 500원 정도라도 더 저렴할 때가 있는데 국산제품에다가 가격만 맞는다면 사실 어느 회사 제품을 구매하셔도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경험상으로)
자 그래서 일단 닭목살만 준비하면 끝이냐?라고 물으실 수 있지만 한 가지 재료가 더 필요합니다 바로 요 시판용 소불갈비 양념장! 이러면 이제 모든 준비는 완료가 됩니다
제품 회사는 정말 아무 곳이나 상관없습니다 저는 보통 마트에 가서 세일하는 제품으로 사용을 합니다.
일단 닭목살을 냉장해동으로 하루정도 해동 시켜 준 후 물로 두세 번 정도 잘 헹구고 채반 같은 곳으로 물기를 어느 정도 빼줍니다. 기름기를 싫어하시는 분들은 기름을 손질하시는 경우도 있긴 한데 저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지방이 전혀 느끼하지 않고 풍미를 더해주며 게다가 양도 늘어나거든요 ㅎㅎ..
그런 다음 아까 소개해 드린 시판용 양념장을 부으면 끝이 납니다.. 정말 쉽죠??
이렇게 부어놓은 닭목살을 냉장고에 6시간 이상 숙성해 놓으면 베스트긴한데 나는 당장 먹고싶어! 라고 하시는 분은 양념장을 조금 넉넉하게 부으신 뒤에 드시면 사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맛을 냅니다.. 거기다 나는 약간 어른의 맛을 느끼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다진 마늘을 살짝 넣어도 되지만 사실 양념장 안에 다 포함되어 있는거라서 없는 다진마늘을 사다가 넣으실 필요까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렇게 구워주면 끝이 납니다!! 바싹 굽든 살짝 미디엄으로 굽든 어차피 부드럽고 맛있습니다 그건 취향에 따라서 구워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요리가 정말 사기인 이유는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아들친구가 놀러 왔을 때 해준다면 아드님을 부러운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캠핑 갈 때 예산이 부족하다면 장어는 어른들 먹을 것만 사시고 나머지 아이들에게 닭목살을 구워주면 어린이날 선물을 받은 거 마냥 기뻐하는 아이들을 보실 수 있을 정도입니다
헛소리 그만하고 많이 궁금해하실 내용 위주로 F&Q 작성해 보았습니다
1. 양념으로 말고 담백하게 먹고 싶은데 방법이 없나요?
-소금과 후추 간만 하신 다음 구워드시면 됩니다. 저는 복잡하게 마늘, 맛술 이런 건 넣지 않습니다만 고건 취향에 따라 하시고 소금과 후추를 메인으로 하시고 드시면 이것 또한 별미입니다!
2. 양이 너무 많은데 소분해서 냉동해 먹어도 문제없나요?
-제가 위생적인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맛으로만 말씀드리자면 전혀 문제없습니다. 해동만 냉장에서 충분히 해주신다면 거의 얼리지 않은 고기와 비슷한 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3. 튀겨보셨나요?
-네 시도는 해봤습니다만 실패했습니다.. 조합으로는 맛없을 수가 없었는데 아마 이건 제 스킬부족인 거 같습니다..
4. 양념장은 어느 정도 넣어야 하나요?
-일단 저 시판용 양념장에 쓰여있는 정도의 양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500g짜리가 2.5kg 정도 용이라고 쓰여있길래 그거에 맞춘 비율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은 주저리주저리 길지만 요리는 정말 간단하니 속는 셈 치고 한번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